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기자, 정치부 홍지은 기자 나와있습니다. <br><br>Q1. 홍 기자, 어제까지만 해도 국면전환용 인사는 없다는 거였잖아요. 밤사이에 분위기가 급변한 이유가 뭔가요? <br><br>핵심은 결국 '여론' 입니다. <br> <br>선거 패배 후폭풍에 국민의힘 지도부, 긴박하게 움직였지만 여론은 계속 나빠졌죠. <br> <br>앞서 윤 대통령, '국면전환용 인적교체는 없다'고 밝혔는데요. <br> <br>당 핵심 관계자들은 그냥 넘어갈 수 없는 상황이라는 점을 대통령에게 전달했고, 대통령도 수용한 것으로 전해집니다. <br> <br>어제 밤 늦게 결정이 됐고, 그 결과 오늘 아침 친윤 핵심, 이철규 사무총장의 사의 표명을 시작으로 임명직 당직자들의 총사퇴가 이뤄진 겁니다. <br> <br>이철규 의원은 채널A와 통화에서 "이번 사의 표명은 당의 안정에 방점이 있다"고 전했습니다.<br><br>Q2. 임명직 당직자들은 전원 물러났는데, 김기현 대표와 선출직 최고위원들은 남았잖아요. 이유가 있겠죠? <br><br>바로 대안이 없다는 겁니다. <br> <br>김기현 대표가 물러나게 되면 상황도 더 복잡해지기 때문입니다. <br><br>대표가 물러나면 전당대회를 해서 새 지도부를 뽑아야 하는데, 총선이 180일도 남지 않은 상황, 시간이 없다는 인식이 강하고요.<br> <br>전당대회가 아니라면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가는건데, 비대위원장을 구하고, 꾸리고 그 과정에서 당이 엄청난 혼란을 겪을 수 있다는 겁니다.<br> <br>당 핵심 관계자들의 의견을 종합해보면요. <br> <br>현재까지 김기현 대표 사퇴 가능성은 '0%'라고 합니다. <br> <br>Q3. 앞서 리포트에서도 봤지만, 임명직 사퇴로 부족하다, 김기현 대표도 물러나라 목소리도 있잖아요. <br><br>수도권과 충청권 의원들 사이에선 '이대로는 안된다'는 분위기가 강합니다. <br> <br>예상보다 더 큰 격차로 패배한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결과를 보고 위기감이 높아졌거든요. <br> <br>김기현 대표도 책임져야 한다는 것은 물론, 당과 대통령실과의 관계를 우려합니다.<br> <br>한마디로 할 말 하는 지도부여야지, 지금과 같은 대통령실과의 수직적 관계로는 더는 안된다는 겁니다. <br><br>이 때문에 당 안팎에선 당이 대통령실에 개각 요구도 하며 할 말을 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요. <br> <br>빨리 조기 선대위 꾸려서 총선 준비에도 나서자는 움직임도 읽힙니다. <br> <br>반면, 김진태 강원도지사처럼 다 나가라고 하면 누가 수습하냐며, 임명직 사퇴로 충분하다는 당 내 반응도 있습니다.<br> <br>Q4. 위기감이 커진 국민의힘 의원들, 임명직 사퇴와 김기현 대표의 "분골쇄신" 의지 표명으로 잠재워질 수 있을까요? <br><br>내일 예정된 국민의힘 긴급 의원총회가 첫 고비가 될 겁니다. <br> <br>내일 오후 4시에 예정돼 있는데요. <br> <br>수도권 여러 의원들과 통화를 해봤는데, 의원총회 가서 일단 들어보겠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더라고요. <br> <br>김기현 대표가 어떤 쇄신 카드를 들고 나오느냐에 달렸다는 겁니다. <br> <br>국민의힘 한 의원, "김 대표도 이번 총선에 사즉생의 각오로 임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"며 "험지 출마나 불출마 카드를 통해 이 국면을 정면 돌파해야한다"고 말했기도 했습니다.<br> <br>김기현 대표, 깜짝 카드를 갖고 올거란 이야기도 나오는데요. <br> <br>당 대표실 관계자는 "확장된 지도부 컨셉으로 친윤 색깔이 적은 수도권 인사를 대거 지도부에 포진시킬 것"이라고 전했습니다.<br> <br>내일 의원총회에서 큰 갈등없이 넘어간다고 해도, 당 지지도 등 여론 반응이 중요한데요. <br> <br>이 또한 김 대표가 내놓을 쇄신해법에 달려있다는 해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Q. 지금까지 아는기자였습니다. <br><br><br /><br /><br />홍지은 기자 rediu@ichannela.com